역사는 기억 속에서 깨어난다, 총성과 함께
<암살>(감독: 최동훈, 2015)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그린 대작 영화로,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스케일과 서사를 모두 갖춘 작품이다. 개봉 당시 1,270만 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고, 대중성과 작품성 양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영화는 단지 역사적 사실을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오히려 ‘기억해야 할 이름 없는 영웅들’을 통해 관객에게 묻는다. 우리가 누리는 현재는 누구의 희생 위에 있는가? 그리고 역사는 어떻게 남아야 하는가? 서론에서는 <암살>이 단순한 시대극을 넘어, **개인과 민족, 기억과 선택**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강렬하게 설파한 작품임을 조명하고자 한다. 최동훈 감독은 특유의 장르적 감각과 대중적 흡입력을 역사와 접목시켜, 독립운동을 하나의 영화적 장르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배우 전지현이 분한 저격수 안옥윤이라는 캐릭터가 있다. 그녀는 조국과 신념, 가족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물로, 관객의 몰입을 이끈다. 결과적으로 <암살>은 일제강점기의 슬픈 역사를 다룬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슬픔에 머물지 않고 행동과 선택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능동적 서사로 완성된다.
줄거리와 흥행 포인트 – 조국을 위해 방아쇠를 당긴 사람들
1933년 경성. 임시정부는 일본 고관과 친일파 강인국(이경영 분)을 암살할 계획을 세운다. 그 임무를 맡은 이는 여성 저격수 안옥윤(전지현 분), 폭파 전문가 황덕삼(조진웅), 변장에 능한 속사포(최덕문). 세 사람은 경성으로 잠입해 작전을 준비한다. 한편,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고용된 밀정 염석진(이정재 분)은 과거 독립운동가였으나, 지금은 일본 경찰과 협력하는 인물이다. 염석진은 암살단의 정체를 추적하며, 옛 동료들과 갈등하게 된다. 이 영화의 줄거리는 단순한 미션 수행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플래시백 구조**를 통해 각 인물의 사연과 갈등, 배신과 희생을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흥행 포인트는 다양하다. 첫째, **배우들의 열연**. 전지현은 기존의 로맨틱 이미지에서 벗어나 냉정하고 강단 있는 저격수로 변신해 새로운 연기 지평을 열었고, 이정재는 이중성을 지닌 캐릭터를 설득력 있게 소화하며 극의 긴장감을 높였다. 둘째, **시대 재현과 미장센**. 경성의 거리, 일제 경찰 본부, 호텔, 저격 포인트 등은 세세한 고증과 함께 영화적 스타일로 완성되어 몰입감을 높인다. 셋째, **액션과 드라마의 균형**. 영화는 총격과 추격, 폭파 장면이 이어지는 전형적인 액션 영화의 구조를 따르면서도, 인물 간의 감정선과 서사를 놓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관객은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이야기’를 따라가게 된다. 무엇보다 인상적인 점은 영화가 영웅의 일방적 미화를 지양하고, 인물들의 갈등과 상처, 실수를 함께 조명했다는 점이다. 이는 <암살>을 더 인간적인 영화로 만든다.
결론 – 영웅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되는 것이다
<암살>은 ‘독립운동가’라는 상징을 단지 역사적 이미지로 소비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의 내면, 그들이 감내해야 했던 선택과 고통을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역사는 ‘누군가의 이야기’**라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영화의 마지막, 안옥윤은 적에게 방아쇠를 당기며 “당신은 조선을 팔았고, 나는 조선을 지켰다”고 말한다. 이 한 마디는 이 영화의 모든 메시지를 함축한다. 영웅은 거창하지 않다. 조국을 위해 싸우기로 ‘선택한 사람들’일 뿐이다. 또한 이 영화는 역사 교육이라는 기능도 수행한다. 젊은 세대에게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를 감각적으로 전달하고, 나아가 오늘날의 ‘친일 잔재’에 대한 질문도 던진다. 영화 <암살>은 슬픈 시대의 기록이자, 미래를 위한 질문이다. 과거를 잊지 않는다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이며, 이 영화가 존재하는 이유다. 그리고 우리는 그 총성이 울렸던 순간을, 영원히 기억해야 한다.